차밍이
[Github] 기초 내용 총정리 -3- git remote 원격 저장소 생성 추가 본문
반응형
    
    
    
  Git 원격 저장소
Git 원격 저장소 : Github, GitLab 등의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
1. Github 원격 저장소 만들기
- github로 이동 후 로그인 : github.com
 - Repositories 선택 New 클릭
 

- 저장소 생성
 

2. 원격 저장소 Repository
2-1. git remote add : 원격 저장소 추가
origin 키워드 사용
$ git remote add origin {원격 저장소 주소}
$ git remote add origin 
https://github.com/chan157/testRepo.git
<원격 저장소 형식>
https://github.com/chan157/testRepo.git
웹 호스트 서비스 / 그룹 이름 / 프로젝트 명
- 위에서 만든 원격 저장소 https 복사
 

$ git remote add origin https://github.com/chan157/testRepo.git수행- 해당 url의 원격 저장소를 
origin이라는 이름으로 설정 및 연결 git remote -v수행으로 저장소 위치 확인 가능

2-2. git remote show origin : 원격 저장소 확인
git remote -v
git remote show origin
2-3. 원격 저장소 이름 변경
원격 저장소 단축 이름을 origin에서 git_name_test로 수정
$ git remote rename origin git_name_test

이름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음
2-4. 원격 저장소 삭제
repo가 변경되거나, 필요 없어진 경우 삭제 가능
$ git remote rm git_name_test
2-5. Git Clone : 기존에 만들어져 있는 프로젝트 가져오기
기존에 원격 저장소가 있는 경우 받아오기
git clone 기존의 git repository를 복사

원하는 github의 원격 저장소에서 clone 받아오기
https://github.com/chan157/GoStudy.git
$ git clone {원격저장소 주소 https}
$ git clone https://github.com/chan157/GoStudy.git반응형
    
    
    
  'Githu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Github] 기초 내용 총정리 - 2 - Git 설치하기 및 초기 설정, git config (0) | 2021.08.21 | 
|---|---|
| [Github] 기초 내용 총정리 - 1 - Git이란? Git의 특징 (0) | 2021.08.20 | 
| [Github] master와 branch 병합 시나리오 - 충돌 시 해결 방법 (0) | 2020.04.14 | 
| [Github] 독립된 작업을 위한 Branch 기초 명령어 (0) | 2020.04.13 | 
| [Github] 완전기초 사용방법 : add, commit, push, pull (3) | 2020.04.12 | 
관련된 글 보기
								  Comments